[주식 용어] 기업 평가 하는 방법 EV/EBITDA 지수
- 주식 / 가이드, 팁, 용어정리
- 2021. 6. 9.
기업 평가 하는 방법 EV/EBITDA 지수

Earnings Before Interest, Taxes, Depreciation and Amortization
이자비용, 세금, 감가상각 비용 등을 빼기전의 순이익 입니다
감가상각이란 유형자산의 취득원가에 예상 사용 기간을 따져 비용으로 나눈 것으로

토지를 제외한 자산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예를 들어 건물을 100억에 구매해 10년 동안 사용한다면
감가 상각비는 10억이 됩니다
기업이 얼마나 현금 창출력이 있는지를 볼 수 있는 지표입니다
EV/EBITDA 지표를 통해 인수합병 M&A 등에서 기업의 가치를 산정할 때 주로 사용하게 됩니다
EV는 Enterprise Value 로 기업의 시장 가치를 의미합니다
여기서 문제점은 영업활동의 자산부채 변동이 완전히 제외되어 있다는 것입니다
당기순이익의 매출이 실제 현금의 유입이 아니라
재고자산을 쌓고 매출채권을 통해서 올린 것이라면 이 지수는 의미가 없어 집니다
예로
대우건설이 금호그룹으로 매각 당시

EBITDA 지수로 수천 억에 달하는 대기업이였지만
실상은 매출채권, 미청구공사 등으로 제대로 들어오는 현금이 거의 없는 부실 기업이였습니다
EBITDA의 단점을 모두 반영한 지표가 있습니다
바로 현금흐름표 입니다
현금흐름표에는 이자비용, 세금, 자산부채 변동까지 들어 있습니다
EBITDA 지표는 수주산업인 건설업, 조선업에서는 조심해서 사용하거나 빼고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삼성전자 같은 경우는 6, 5로 안정적으로 유지가 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선박업인 HMM 같은 경우는 14 -> 4 로 큰 폭으로 떨어진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렇게 수주 산업인 건설업, 조선업 같은 경우는 이 지표를 빼고 보는 것이 좋습니다